[편집자 주] ‘글쓰기’ 신문은 ‘엄민용 기자의 우리 말글 산책’을 주 1회 연재합니다. 경향신문의 엄민용 기자(부국장)는 정확한 우리 말글 사용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문가입니다. 대학과 기업체, 관공서 등에서 글쓰기 바로쓰기 특강 강사로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옛말에 과공비례(過恭非禮)라고 했습니다. 지나친 공경은 오히려 예의에 어긋난다는 얘기죠.

이는 행동뿐 아니라 말도 마찬가지입니다. 쓸데없이 존대의 표현을 써서 엉뚱한 말을 만드는 사례가 많습니다. 그런 말 중에서 대표적인 표현이 “우리 할아버지는 귀를 잡수시어 아무것도 못 들으셔” 따위 문장에서 보이는 ‘귀가 잡수시다’입니다.

‘귀(가) 먹다’의 높임말이 ‘귀(를) 잡수다’인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먹다’의 의미를 잘못 생각한 것입니다.

‘잡수다’는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해 배 속에 들여보내다”를 뜻하는 ‘먹다’의 높임말입니다. “조반을 잡수다” “약주를 잡수다 ” “아버지께서 진지를 잡수고 계신다” 등으로 쓰이는 것이죠.

그러나 ‘귀가 먹다’에서 쓰인 ‘먹다’는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를 뜻하는 말입니다. 즉 ‘코가 먹다’는 “코가 막힌 것”이고, ‘귀가 먹다’는 “귀가 막혔다”는 의미인 것이죠.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코가 막힌 것을 “코를 잡수셨다”로 쓸 수 없듯이, 귀가 막힌 것을 “귀를 잡수셨다”로 쓸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요. 귀와 관련해 열이면 아홉은 틀리는 말이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귀가 멍멍하다’입니다.

‘멍멍하다’는 “정신이 빠진 것처럼 어리벙벙하다”를 뜻하는 말로 “나는 한동안 멍멍한 상태에서 깨어날 수 없었다” 따위처럼 쓰입니다.

“갑자기 귀가 막힌 듯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 또는 “체한 것처럼 가슴이 답답하다”를 뜻할 때는 ‘멍멍하다’가 아니라 ‘먹먹하다’로 써야 합니다.

귀와 관련해 흔히 틀리는 말로는 ‘귓방망이’도 있습니다. 여러분 중에서도 무척 화가 났을 때 “귓방망이를 한 대 쳐 버릴까 보다”라는 말을 쓰는 분이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귓방망이’는 글꼴이 좀 이상한 말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쓰더라도 표준어로 인정받기 힘든 말이기도 하고요.

우리말에서 ‘방망이’는 주로 “무엇을 치거나 두드리거나 다듬는 데 쓰기 위해 둥그스름하고 길게 깎아 만든 도구”나 “야구에서, ‘타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따위로 쓰입니다. ‘귀와 뺨의 어름’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그러면 ‘귀와 뺨의 어름’을 뜻하는 말은 뭘까요? 그것은 여러분도 잘 아는 ‘귀싸대기’입니다. 이때 조심해야 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 ‘싸대기’의 첫 소리가 된소리이므로 ‘귓싸대기’로 써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위쪽’ ‘뒤땅’ ‘위창’ ‘뒤풀이’ 등의 예에서 보듯이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못 쓰니까요.

‘귀싸대기’를 ‘싸대기’나 싸다구’로만 쓰기도 하는데, 이들 말 역시 사전에 올라 있지 않습니다. 현재는 표준어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이 밖에 ‘뺨’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뺨때기’ ‘뺨따구’도 널리 쓰이는데, 이들 말 역시 ‘뺨따귀’로 써야 합니다.

 

저작권자 © 자연치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