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글쓰기’ 신문은 ‘엄민용 기자의 우리 말글 산책’을 주 1회 연재합니다. 경향신문의 엄민용 기자(부국장)는 정확한 우리 말글 사용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문가입니다. 대학과 기업체, 관공서 등에서 글쓰기 바로쓰기 특강 강사로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이어 신세경에 대해서는 신세경이 겉으로 보기엔 새침때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장난기가 엄청난 꾸러기라며 신세경의 꾸러기 본능을 끌어내는 작품을 같이하고 싶다고 밝혔다” “새침때기 김새론, 김승우 아빠는요~~‘나는 아빠다’” 따위 예문에서 보듯이 새침때기는 아주 널리 쓰이는 말입니다. 그러나 벌써 다들 눈치 챘겠지만, ‘새침때기는 바른말이 아닙니다.

망가지는 캐릭터로 연기하는 것도 영광이지만 조용한 새침떼기 역할도 꼭 해보고 싶어요에서 보이는 새침떼기역시 표준어가 아닙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새침한 성격을 지닌 사람을 뜻하는 말은 새침데기가 바른말입니다. 여기서 ‘-데기“‘그와 관련된 일을 하거나 그런 성질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지요.

따라서 부엌일을 맡아서 하는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부엌데기이고, “생각이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역시 푼수데기입니다. ‘부엌때기(부엌떼기)’푼수때기(푼수떼기)’로 써서는 안 되는 것이지요.

저승세계를 지나 신선세계까지 가서 불사약을 구해 와 아버지를 살렸다는 무속신화 속의 바리공주를 부르는 말도 바리때기바리떼기가 아니라 바리데기입니다.

그러나 우리말에서 ‘-때기가 붙는 말도 많습니다. 배때기, 귀때기, 볼때기, 이불때기, 송판때기, 표때기 등이 그런 말들입니다. 우리말에서 ‘-때기“‘비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입니다.

그런데 이들 때기가 붙는 말 중에서 볼때기볼따귀로 쓰는 일이 참 많습니다.

문득 기름기 좌르르 흐르던 그녀의 볼따귀가 생생한 느낌으로 되살아났고따위로 쓰이는 것이지요.

하지만 볼따귀는 바른말이 아닙니다. “볼때기로 써야 하는 것이지요. ‘볼때기와 같은 의미의 말로는 볼따구니’ ‘볼퉁이가 있습니다.

볼때기주변을 가리키는 말로 귓방망이도 흔히 쓰입니다. 네이버의 오픈국어사전은 귀 뒤쪽머리를 말하는 용어다. 사투리라고 할 수도 있지만 이 단어를 써서 말을 했을 때 너무 상스럽기 때문에 욕으로도 쓰인다라고 설명해 놓고 있지요.

하지만 귓방망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무엇을 치거나 두드리거나 다듬는 데 쓰기 위해 둥그스름하고 길게 깎아 만든 도구를 뜻하는 방망이가 붙을 까닭이 없지요.

그러면 귀와 뺨의 어름을 뜻하는 말은 뭘까요? 그것은 여러분도 잘 아는 귀싸대기입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그러나 싸대기의 첫 소리가 된소리이므로 귓싸대기로 써서는 안 됩니다.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못 쓰니까요.

귀싸대기싸대기싸다구로만 쓰기도 하는데, 이들 말은 사전에 올라 있지 않습니다. 현재는 비표준어라는 얘기죠.

그리고 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뺨때기’ ‘뺨따구도 널리 쓰이는데, 이들 말 역시 뺨따귀로 써야 합니다.

 

저작권자 © 자연치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