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다’는 살이 찌거나 몸무게가 는다는 의미는 없어
“몸이 불고 있어요” “체중이 불지 않아요”로 쓰지 못해
“몸이 붇고 있어요” “체중이 붇지 않아요”로 써야

[편집자 주] ‘글쓰기’ 신문은 ‘엄민용 기자의 우리 말글 산책’을 주 1회 연재합니다. 경향신문의 엄민용 기자(부국장)는 정확한 우리 말글 사용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문가입니다. 대학과 기업체, 관공서 등에서 글쓰기 바로쓰기 특강 강사로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몸이 많이 불었다”라거나 “체중이 불어 걱정이다” 등은 널리 쓰이는 말입니다. 또 이들 문장 속의 ‘불었다’와 ‘불어’는 바른 표기입니다.

그러다 보니 살이 찐다거나 몸무게가 늘었다는 의미로 ‘불다’를 쓰는 일이 흔합니다. “제가 살이 찌는 체질이 아닌데, 자꾸만 몸이 불고 있어요” “평소에 과식하지 않고 적당량만 먹으며 체중을 조절하다 보니 체중이 불지 않아요” 따위처럼 쓰는 거지요.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그러나 우리말에서 ‘불다’는 △바람이 일어나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다 △유행·풍조·변화 따위가 일어나 휩쓸다 △입을 오므리고 날숨을 내어 보내어, 입김을 내거나 바람을 일으키다 △입술을 좁게 오므리고 그 사이로 숨을 내쉬어 소리를 내다 △코로 날숨을 세게 내어 보내다 △숨겼던 죄나 감추었던 비밀을 사실대로 털어놓다 등 다양한 뜻이 있지만, 살이 찌거나 몸무게가 는다는 의미는 눈곱만큼도 없습니다.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라거나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라는 뜻의 말은 ‘불다’가 아니라 ‘붇다’입니다. 그런데 ‘붇다’를 비롯해 ‘묻다’ ‘듣다’ ‘걷다’ 등처럼 어간 말음에 디귿(ㄷ) 받침이 있는 말은 활용할 때 특이한 형태를 띱니다.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디귿(ㄷ)이 리을(ㄹ)로 변하는 것이죠.

“물어(묻다) 보았다” “그런 소리를 들으니(듣다) 기분이 나쁘다” “그 길을 걸은(걷다) 적 있다” 따위처럼 쓰이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저 앞에서 예로 든 “몸이 많이 불었다” “체중이 불어 걱정이다” 등의 ‘불었다’와 ‘불어’는 바른말입니다. ‘불은 몸’으로 쓸 수도 있지요.

하지만 자음 앞에서는 ‘ㄷ’이 ‘ㄹ’로 바뀌지 않습니다. “묻지 않았다” “듣고 있다” “2시간 걷자니 다리가 아프다” 등처럼 ㄷ받침이 그대로 쓰입니다.

따라서 “몸이 불고 있어요” “체중이 불지 않아요” 따위처럼 쓰지 못합니다. “몸이 붇고 있어요” “체중이 붇지 않아요”로 써야 하죠. ‘묻고 있어요’를 ‘물고 있어요’로, ‘듣지 않아요’를 ‘들지 않아요’로 쓸 수는 없잖아요.

‘붇다’를 ‘(몸이) 불고 있다’나 ‘(체중이) 불지 않는다’로 잘못 쓰는 것과 같은 유형으로 틀리게 쓰는 말은 참 많습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라면이 불기 전에 먹어라” “물을 많이 부었더니 국수가 불고 말았다” 등의 ‘불기’와 ‘불고’도 ‘붇기’와 ‘붇고’로 써야 합니다. 앞에서 얘기했듯이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를 뜻하는 말은 ‘불다’가 아니라 ‘붇다’이니까요.

또 “부침개가 눌지 않도록 부쳐라” 역시 “부침개가 눋지 않도록 부쳐라”로 써야 합니다.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를 뜻하는 말이 ‘눋다’이거든요. 이 ‘눋다’가 모음을 만나면 ‘눌어’ ‘눌은’ 등이 되는데요. ‘눌은밥’도 여기서 나온 거지요.

이 밖에 “한 여인이 우물물을 길고 있다”도 “한 여인이 우물물을 긷고 있다”로 써야 합니다.

저작권자 © 자연치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