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인, 멋글씨 작가
대한민국 상징 광화문, 현판 글씨도 우리식으로

1919년 나라를 빼앗긴 일제강점기 중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어 대한민국은 올해로 건국 100년을 맞았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대한민국을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조형물이나 건축물을 쉽게 떠올릴 수 없는 실정입니다.

광화문은 경제개발 시대와 민주화 시대를 지나 시민혁명에 이르며, 대한민국의 심장이자 상징이 되었습니다. 중국인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반드시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광화문 광장의 중심에 서서 광장을 내려다보고 있는 경복궁의 문, 광화문과 광화문 현판은 자연스레 대한민국의 첫 모습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자로 되어있는 光化門현판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대한민국답게 상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로쓰기 방식으로 읽으면 門化光이 되는 현재의 광화문 현판은 이 나라가 중국인지 대한민국인지 구분할 수 없게 해 놓았습니다.

전 세계인들이 한국어와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로 가득합니다. 그들은 한국을 방문하는 것이 큰 기쁨이 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대한민국을 방문했을 때 맨 먼저 만나고 싶은 것은 안녕하세요라는 우리말이고 두 번째는 한글일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떻습니까. 대한민국의 상징인 광화문 광장에 도착해서 그들의 눈에 가장 크게 들어오는 문자는 한글이 아니라 한자 門化光입니다.

(좌)현재 광화문의 한자 현판 (우)한글 현판 예시
(좌)현재 광화문의 한자 현판 (우)한글 현판 예시

실예로 중국의 천안문 광장에는 청나라의 상징인 자금성을 뒤로 두고 마오쩌둥의 사진과 현재 중국의 문자 간체로 된 글자로 오늘날의 중국을 상징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찾는 성지이자 자존심이 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오늘날 중국의 상징을 먼저 살피게 한 후 청나라의 상징인 자금성으로 들어가게 했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의 수도에 세워진 워싱턴기념탑은 미국인을 하나로 묶는 상징입니다. 이 기념탑은 미국을 건국한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위업을 기념하기 위해 1848년 착공하여 37년만인 1885년 완공되었습니다. 워싱턴 D.C.에서는 이 기념탑보다 높은 건물이 들어설 수 없도록 제한한 법규가 있어 워싱턴 기념탑을 더욱 미국의 상징답게 보이도록 하고 있습니다.

서유럽에 위치해 있는 아르메니아는 터키나 소련 등 잦은 외세의 침공으로 늘 불안했던 나라이지만 405년경 만들어진 자국의 문자 아이브벤을 통해 그들 민족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지키고 있습니다. 천년 넘은 교회 건물들과 거리 곳곳에 그들의 문자를 새겨 놓음으로써 문자를 통해 국력을 하나로 묶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자유의 여신상 보다 더 뉴욕을 상징하는 ‘INY’. 1970년대 중반 뉴욕 주는 관광수입이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자, 특별한 프로젝트를 당시 뉴욕에 거주하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밀턴 글레이저(Milton Glaser, 1929~)에게 맡기게 됩니다. 그 당시 뉴욕 주의 관광 슬로건인 ‘Virginia is for Lovers’에서 영감을 받아 빨간색 하트가 들어간 INY(I Love New York) 로고가 새롭게 탄생하게 됩니다. ‘INY’ 광고 캠페인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며, 뉴욕의 관광 수입은 캠페인 시작 1년 뒤에 14천만 달러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념품에 디자인되어 지금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지금은 뉴욕시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광화문 현판이 훈민정음체로 교체된다면 디자이너나 서예가,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광화문을 다양한 글꼴로 개발하여 상품화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입니다.

굳이 외국의 사례를 예들지 않아도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표방할 수 있는 상징이 필요하고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한글 광화문 현판, 시대적 요구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광장에 자리 잡고 있는 한자현판은 반드시 한글현판으로의 교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시대적 요구입니다.

현재의 한자 光化門현판이 만약 공간적으로 광화문 광장에 있지 않거나 광장의 이름이 광화문이 아니라면 이런 주장도 사실 없었을 것입니다. 또한 현재의 현판에 사용된 글씨는 서예로서 갖추어야 할 예술성이나 기운생동이 전혀 없습니다. 역동적이고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상징하지도 못합니다. 천안문 광장처럼 광화문 앞에 새로운 건축물이나 상징물을 세울 수도 있지만 그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거니와 또 다른 국력 낭비가 될 뿐입니다.

광화문을 찾는 수많은 내외국인들이 제일 먼저 만나고 싶은 것은 한글이지 한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한글현판으로의 교체를 통해 대한민국의 상징을 바로 세우고 우리의 자긍심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 민족의 저력을 널리 표방해야 합니다.

광화문, 새로운 한글현판은 훈민정음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사실 차고 넘치지만 몇 가지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훈민정음해례본 서문에서 밝혀놓은 한글 창제의 배경과 과정을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첫째는 다름입니다. 세종은 우리말이 중국 다름[]에도 한자를 쓰고 있으므로 새로운 문자가 필요하다는 주체적인 생각을 먼저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 외에 일본마저도 자국의 문자가 있는데, 왜 우리는 독자적인 문자를 갖고 있지 않느냐는 자각과 더불어 다름에서 출발한 것은 독창적인 사고와 오늘날 용어로 말한다면 매우 디자인적인 정신에서 출발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또한 하늘과 땅, 사람이 어우러지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바탕으로 우주만물이 내는 소리의 이치를 시각화한 합리적이고 개념적인 디자인 결과물입니다. 2008년 애플을 만든 스티브 잡스는 회사의 표어를 다른 생각 Think Differnt’로 정했습니다. 그렇지만 세종께서는 600년 전에 이미 다른 생각으로 한글을 만들었습니다.

둘째, 평등하고 민주적인 문자 한자를 모르는 일반(一般) 백성들은 읽고 쓸 수 없어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으며 핍박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은 매우 큰 문제라고 보았습니다. 당시 지배계급인 양반들은 한자를 읽고 쓸 수 있어서 문화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글 모르는 일반백성들을 위해 새롭게 문자를 만들겠다는 것은 군주국가인 조선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으나 세종은 한글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만 백성들의 지적능력 향상을 도모하여 평등한 사회, 풍요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했으니 널리 이롭고 지극히 민주적인 문자입니다.

셋째, 사랑의 실천 문자를 몰라 제 뜻을 펼 수 없는 백성들을 사랑[]하는 세종의 지극한 마음의 표출입니다. 현대 디자인 전략에 있어서도 단순히 기능만이 아니라 사용자를 위한 사랑이 없는 제품은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도태되고 마는데, 그래서 한글은 과거, 현재, 미래에도 우리에게 유익하고 이로운 발명품입니다.

넷째, 쉽고 과학적이며 예술성이 뛰어난 문자 문자를 전혀 모르는 일반 백성들을 위해 배우기 쉽[]게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이 쉬움의 원리에는 애민정신과 과학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으며, 표음문자의 자질 뿐만 아니라 표의문자의 자질을 갖춤으로써 한글의 예술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솟다라는 글에서 솟아나 뻗어 나가는 기운을 글씨로 표현하면 <그림1>과 같습니다. 음양오행의 원리에서 ㅗ와 ㅏ는 양에 속합니다. ㅗ는 위쪽 방향으로 솟아나는 모양새이고 ㅏ는 오른쪽으로 뻗어 나가는 모양새로 자연스레 만들 수 있어서 솟아나 뻗어 나가는 기운을 글씨로 표현하여 한글의 표의성과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ㅓ는 ㅏ가 되고, ㅗ는 ㅜ가 되는 원리는 매우 과학적인 체계이며, 아래 ∙의 획의 변화를 통해 글이 가진 뜻과 소리를 표현할 수 있으니 한글이 얼마나 조형성이나 예술성이 뛰어난 문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다섯째, 편하게 쓰라 새로운 문자를 읽혀 양반이든 평민이든 모든 백성들이 편[便]하게 쓰라는 보편화와 실용정신입니다.

이렇게 훈민정음해례본 서문에서 밝혀놓은 한글창제의 의의는 문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인 정보 전달과 공유를 통해 소통하고 조선만의 문화중흥을 꾀하고 있으며, 학문진흥의 수단으로 삼았습니다. 이와 함께 만백성의 지적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풍요로운 세상을 이룩하기 위한 토대를 쌓은 것입니다. 또한 한글은 새로 만들어진 문자이기 때문에 압축된 형태의 원형으로 표기하여 한글 꼴의 올바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전환이 무궁하기에 후대가 스스로 다양한 꼴, 즉 디자인적인 가치와 예술적인 가치를 키우며 발전해 가기를 기원했습니다.

이밖에도 한글의 첫 모습인 훈민정음체는 쉽고 간결한 기하학적 도형으로 만들어져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 적합하며, 판독성과 가독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24개의 모음과 자음만으로 컴퓨터 자판 내에서 모든 글을 입력할 수 있는 체계로 21세기 첨단시대에도 쓰임은 날로 새로워 그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이렇듯 광화문, 한글현판을 훈민정음체로 교체되어야 할 이유는 차고 넘칩니다.

광화문 한자현판, ‘훈민정음체로 교체하여 대한민국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바로 세우자
가장 민주적이고 창조적인 결과물인 한글, 한글의 첫 모습인 '훈민정음체'로 교체하여 대한민국의 상징을 바로 세우는 것은 시대적 요구입니다.

훈민정음15세기 경복궁의 주인이었던 세종대왕께서 만든 문자이고 光化門역시 세종 시대에 지어진 이름입니다. 지금의 광화문 글씨가 맨 처음 글씨도 아닙니다. 불타고 새로 지을 때 그 시대 사람이 새로 쓴 것입니다.

광화문 현판의 '훈민정음체'로의 교체는 어떤 서체나 어떤 사람이 글씨를 쓸 것인지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없이 국력을 보다 하나로 모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자로 된 모든 문화재를 모두 다 한글로 바꾸자는 주장은 아닙니다. 오직 광화문이 가지는 상징성 때문입니다. 중국인이나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대한민국의 상징이 된 광화문 광장의 현판만큼은 한자가 아니라 한글로 교체하자는 주장입니다.

이 시대에 맞게 지금의 대한민국 문자인 한글로 광화문 현판을 새로 달면 그것이 역사가 되는 것입니다. 적어도 200년 후에는 그것이 문화재가 되고 역사가 될 것입니다. 역사와 문화는 도도히 흘러가며 새로운 물길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썩고 말 것입니다.

 

생각해 봐 주십시오.

우리 스스로에게나 세계 시민이 대한민국을 찾았을 때,

光化門이 맞을 지.

광화문이 좋을 지.

 

 

저작권자 © 자연치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